[앵커]
느린 학습자, 지적 장애는 아니지만 지능 지수가 낮아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을 이르는 말입니다.
인구의 13% 정도로 한 학급당 3명 정도로 추산되는데, 이런 느린 학습자를 우리 교육 현장에서는 어떻게 지도하고 있을까요?
조성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이른바 ‘경계선 지능인’을 위한 서울의 한 대안학교입니다.
이곳에 오는 학생들은 지능지수 71에서 84로, 지적장애에는 해당하지 않지만 일반적인 학교 수업을 따라가기는 버거운 ‘느린 학습자’들입니다.
[박윤수(23) / 느린 학습자 / 청년행복학교 별 재학생] “어떤 경우는 아예 집중을 못 하던 때도 있었어요. (수업이) 진행되는 동안에 집중력이 많이 흐트러질 때가 많거든요. 그런 것들이 공부의 끈을 놓게 만들었던 또 다른 원인 중 하나 아닌가 생각하고 있고요.”
학계에서는 느린 학습자를 인구의 약 13%로 추산하는데, 교육부가 발표한 한 학급 평균 학생 수인 22명을 기준으로 학급당 약 3명꼴입니다.
2016년 초중등교육법 개정으로 지적 능력이 낮은 학생을 지원하는 정책을 도입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만들어졌습니다.
또 서울과 광주, 경기도 여주와 고양 등 광역과 기초를 합쳐 전국 12개 지방자치단체가 느린 학습자를 위한 조례도 만들었습니다.
서울시는 해당 조례를 근거로 지난 6월 24일 전국 지자체 최초로 경계선 지능인을 위한 평생교육지원센터를 열었지만, 나머지 지자체는 조례만 있을 뿐 뚜렷한 지원책은 없습니다.
아동권리보장원에서도 2020년부터 ‘나답게 크는 아이’라는 시범사업을 통해 느린 학습자를 위한 파견 강사 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전국에 380개 아동센터가 있지만 올해 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아동은 1520명으로, 센터당 4명 꼴에 불과합니다.
올해 학령 인구 643만 명을 기준으로 볼 때 도움이 필요한 느린 학습자가 80만 명에 달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턱없이 적은 숫자인데다, 이마저도 시범사업이라 내년에 계속될지 알 수 없습니다.
느린 학습자인 경계선 지능인 지원을 위해선 이들을 최대한 이른 시기에 발견하는 게 중요합니다.
하지만 지능검사 외에는 공식적인 판단 기준도 없는 데다, 무엇보다 느린 학습자라는 개념이 잘 알려져 있지도 않아 조기 발견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박윤수(23) / 느린 학습자 / 청년행복학교 별 재학생] “청소년기 때쯤 제가 학습이 느리다는 정도로만 알고 있었고, 느린 학습자라는 단어 자체는 성인이 되고 나서 알았어요.”
[유선미 / 원장 / 아동발달센터] “이 느린 학습자의 특성을 아는 게 가장 첫 번째. 이 특성이라는 건 인지적 특성, 정서적 특성, 사회적 특성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조기 선별도 가능한 거죠.”
전문가들은 발달 주기에 따른 맞춤형 학습법이 느린 학습자의 성인기 자립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
느린 학습자의 학습 지원은 물론 성공적인 자립을 위해서도 인식 개선과 더불어 지원책 확대가 필요합니다.
단비뉴스 조성우입니다.
(편집: 조성우 기자 / 촬영: 조성우 안재훈 기자 / 앵커: 윤준호 기자)
출처 : 단비뉴스(http://www.danbinews.com)
✅ 기사 원문보기
http://www.danbi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1046
[앵커]
느린 학습자, 지적 장애는 아니지만 지능 지수가 낮아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을 이르는 말입니다.
인구의 13% 정도로 한 학급당 3명 정도로 추산되는데, 이런 느린 학습자를 우리 교육 현장에서는 어떻게 지도하고 있을까요?
조성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이른바 ‘경계선 지능인’을 위한 서울의 한 대안학교입니다.
이곳에 오는 학생들은 지능지수 71에서 84로, 지적장애에는 해당하지 않지만 일반적인 학교 수업을 따라가기는 버거운 ‘느린 학습자’들입니다.
[박윤수(23) / 느린 학습자 / 청년행복학교 별 재학생] “어떤 경우는 아예 집중을 못 하던 때도 있었어요. (수업이) 진행되는 동안에 집중력이 많이 흐트러질 때가 많거든요. 그런 것들이 공부의 끈을 놓게 만들었던 또 다른 원인 중 하나 아닌가 생각하고 있고요.”
학계에서는 느린 학습자를 인구의 약 13%로 추산하는데, 교육부가 발표한 한 학급 평균 학생 수인 22명을 기준으로 학급당 약 3명꼴입니다.
2016년 초중등교육법 개정으로 지적 능력이 낮은 학생을 지원하는 정책을 도입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만들어졌습니다.
또 서울과 광주, 경기도 여주와 고양 등 광역과 기초를 합쳐 전국 12개 지방자치단체가 느린 학습자를 위한 조례도 만들었습니다.
서울시는 해당 조례를 근거로 지난 6월 24일 전국 지자체 최초로 경계선 지능인을 위한 평생교육지원센터를 열었지만, 나머지 지자체는 조례만 있을 뿐 뚜렷한 지원책은 없습니다.
아동권리보장원에서도 2020년부터 ‘나답게 크는 아이’라는 시범사업을 통해 느린 학습자를 위한 파견 강사 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전국에 380개 아동센터가 있지만 올해 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아동은 1520명으로, 센터당 4명 꼴에 불과합니다.
올해 학령 인구 643만 명을 기준으로 볼 때 도움이 필요한 느린 학습자가 80만 명에 달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턱없이 적은 숫자인데다, 이마저도 시범사업이라 내년에 계속될지 알 수 없습니다.
느린 학습자인 경계선 지능인 지원을 위해선 이들을 최대한 이른 시기에 발견하는 게 중요합니다.
하지만 지능검사 외에는 공식적인 판단 기준도 없는 데다, 무엇보다 느린 학습자라는 개념이 잘 알려져 있지도 않아 조기 발견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박윤수(23) / 느린 학습자 / 청년행복학교 별 재학생] “청소년기 때쯤 제가 학습이 느리다는 정도로만 알고 있었고, 느린 학습자라는 단어 자체는 성인이 되고 나서 알았어요.”
[유선미 / 원장 / 아동발달센터] “이 느린 학습자의 특성을 아는 게 가장 첫 번째. 이 특성이라는 건 인지적 특성, 정서적 특성, 사회적 특성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조기 선별도 가능한 거죠.”
전문가들은 발달 주기에 따른 맞춤형 학습법이 느린 학습자의 성인기 자립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
느린 학습자의 학습 지원은 물론 성공적인 자립을 위해서도 인식 개선과 더불어 지원책 확대가 필요합니다.
단비뉴스 조성우입니다.
(편집: 조성우 기자 / 촬영: 조성우 안재훈 기자 / 앵커: 윤준호 기자)
출처 : 단비뉴스(http://www.danbinews.com)
✅ 기사 원문보기
http://www.danbi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1046